건강검진을 받으면 피검사에서 류마티즘(RF, RA factor) 양성이라는 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있다.
하지만 정작 의사는 **“류마티즘이 아니다”**라고 말할 때가 있다.
그렇다면 왜 류마티즘이 아닌데도 검사 결과는 양성이 나올까?
✅ 류마티즘 검사 결과가 양성인데, 왜 류마티즘이 아닐까?
류마티즘 검사에서 양성이 나왔다는 것은 류마티스 관절염 가능성을 의미할 수 있지만, 100% 확진이 아니라는 것이다.
다른 원인으로 인해 오진이 발생하거나, 실제로 류마티스 관절염이 아닌 경우도 많다.
✅ 1) 류마티스 인자(RF) 수치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류마티스 관절염은 아님
✔ **류마티스 인자(RF)**는 면역계가 오작동할 때 생성되는 단백질로,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80% 정도에서 발견된다.
✔ 하지만 건강한 사람, 감염병 환자, 다른 자가면역질환을 가진 사람에게도 나타날 수 있다.
✔ 따라서 류마티스 인자가 양성이라고 해서 무조건 류마티스 관절염을 진단할 수는 없다.
✅ 2) 류마티즘이 아닌데도 양성 반응이 나올 수 있는 이유
✔ 다른 자가면역질환 → 루푸스, 쇼그렌증후군, 강직성 척추염 등이 원인일 수 있음
✔ 감염병(세균, 바이러스 감염) → 결핵, 간염, 매독 등 특정 감염병에서도 RF 수치가 올라갈 수 있음
✔ 노화로 인한 변화 → 나이가 많아지면서 자연스럽게 류마티스 인자 수치가 증가할 수 있음
✔ 간질환, 폐질환, 심부전 → 특정 만성 질환도 검사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음
✅ 류마티스 관절염 확진을 위해 추가적으로 확인해야 할 검사
단순히 류마티스 인자(RF) 검사만으로는 류마티스 관절염을 확진할 수 없다.
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혈액 검사와 영상 검사가 필요하다.
✅ 1) 항CCP 항체 검사 (사이클릭 시트룰린화 펩타이드 항체 검사)
✔ 항CCP 항체는 류마티스 관절염과 강한 연관이 있는 항체다.
✔ 류마티스 인자(RF)보다 더 정확한 지표로 사용되며, 류마티스 관절염 초기에도 검출될 수 있음.
✔ 만약 RF는 양성이지만, 항CCP는 음성이라면 류마티스 관절염일 가능성이 낮아진다.
✅ 2) C-반응성 단백질(CRP) & 적혈구 침강 속도(ESR) 검사
✔ CRP와 ESR은 염증 수치를 나타내는 검사다.
✔ 류마티스 관절염이 있으면 CRP와 ESR 수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음.
✔ 하지만 이 검사만으로 류마티스 관절염을 확진할 수는 없고, 다른 질환과 함께 고려해야 한다.
✅ 3) 손, 발 X-ray & 초음파 검사
✔ 류마티스 관절염이 있으면 손가락, 손목, 발 관절에 염증이 나타남.
✔ X-ray나 초음파 검사를 통해 관절의 변형이나 손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.
✔ 혈액 검사 결과가 애매할 경우, 영상 검사가 중요한 단서가 된다.
✅ 류마티즘 검사 결과가 양성일 때, 반드시 확인해야 할 질환
✅ 1) 쇼그렌증후군 (Sjogren’s Syndrome)
✔ 입과 눈이 심하게 건조해지는 자가면역질환
✔ 류마티스 인자가 양성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음
✔ 관절통이 있지만 류마티스 관절염과 다르게 관절 변형은 없음
✅ 2) 루푸스 (전신홍반루푸스, SLE)
✔ 면역계가 자신의 조직을 공격하는 질환
✔ 피부 발진, 피로감, 관절통 등이 나타남
✔ 류마티스 인자가 양성으로 나올 수 있음
✅ 3) 간질환 & 폐질환
✔ 만성 간질환(간경화, 만성 B형/C형 간염)에서도 RF 수치가 상승할 수 있음.
✔ 만성 폐질환(폐섬유화 등)도 검사 결과에 영향을 줄 가능성 있음.
✅ 류마티스 인자가 양성으로 나왔을 때 해야 할 대처 방법
✅ 1) 추가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 받기
✔ 류마티스 인자(RF) 검사만으로 류마티스 관절염을 확진할 수 없다!
✔ 항CCP 검사, CRP/ESR 검사, 영상 검사 등을 추가로 받아야 한다.
✅ 2) 생활 습관 개선 (자가면역 질환 예방)
✔ 염증을 줄이는 식습관 유지 → 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채소, 오메가-3 섭취
✔ 스트레스 관리 → 만성 스트레스는 면역계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음
✔ 규칙적인 운동 → 면역 기능을 강화하고 염증 수치를 낮출 수 있음
✅ 3) 정기적인 건강검진 받기
✔ 만약 특별한 증상이 없다면 주기적으로 혈액 검사를 통해 경과를 확인
✔ 류마티스 인자 수치가 계속 상승하는지 체크하는 것이 중요
✅ 결론 - 류마티즘 검사 결과가 양성이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?
✔ 류마티스 인자가 양성이라고 해서 반드시 류마티스 관절염은 아니다.
✔ 다른 자가면역질환, 감염병, 간질환, 폐질환 등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.
✔ 정확한 진단을 위해 항CCP 검사, CRP/ESR 검사, X-ray 등을 추가로 받아야 한다.
✔ 생활 습관을 개선하고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.
류마티즘 검사 결과가 양성이 나왔다면, 너무 걱정하지 말고 추가 검사를 받아 정확한 원인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! 🚀
'✅ 건강 (모든 건강 관련 글 통합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팔꿈치에 생긴 부스럼, 스테로이드 연고로 해결 안 된다면? 원인과 해결법 총정리 (0) | 2025.03.15 |
---|---|
피검사 후 팔이 찌릿거리는 이유 – 신경 손상일까? 해결 방법까지 총정리 (0) | 2025.03.12 |
새끼발톱이 위로 들렸을 때 아프지 않게 처치하는 방법과 예방 방법 (0) | 2025.03.11 |
앞머리 안쪽 이마에 여드름이 많이 나는 이유와 예방법 (0) | 2025.03.09 |
눈 건강 시리즈 ② - 눈 건강을 지키는 생활 습관 5가지 (1) | 2025.03.08 |